美 IRA 시행...리튬 등 배터리 소재 중국 의존도 매년 증가

사진=SK온
사진=SK온

[데일리한국 김정우 기자]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국내 업계의 배터리 소재 ‘탈중국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27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2차전지 소재인 수산화리튬(산화리튬 포함) 전체 수입액 36억8000만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은 32억3000만달러에 달해 87.9%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4.1%포인트(p) 높아진 수치다. 지난해 전기차 시장 급성장에 따라 수산화리튬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이 급등, 대중국 수입액은 전년보다 5.8배로 뛰었다.

수산화리튬은 국내 배터리업계 주력 제품인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제조에 쓰이며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매년 높아졌다. 2018년 64.9%에서 2019년 74.4%, 2020년 81.2%, 2021년 83.8%, 지난해 87.9%까지 가파르게 상승했다.

코발트(산화코발트·수산화코발트)도 지난해 전체 수입액 2억5000만달러 가운데 중국 수입액이 1억8000만달러로 72.8%를 차지, 전년보다 비중이 8.8%p 늘었다. 배터리 음극재에 들어가는 천연흑연도 전체 수입액 1억3000만달러 중 중국 수입액이 1억2000만달러로 비중은 전년보다 6.5%p 상승한 94%에 달했다.

국내 배터리업계는 가장 중요한 전기차 시장인 미국의 IRA 발효에 따라 대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입장이다. IRA 요건에 따르면 올해부터 북미 지역이나 미국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에서 채굴·가공한 핵심광물을 40%이상 사용한 배터리에만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지며 2027년에는 80% 이상으로 기준이 올라간다.

이에 국내 배터리사들은 호주, 칠레 등지의 업체들과 핵심 광물 구매 계약을 맺는 등 공급망 다변화 노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 확보를 추진 중이다. 폐배터리에서 코발트, 구리, 니켈, 리튬 등을 추출해 재활용하면 천연 광물 상태에서 채굴하는 것보다 정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버려지는 배터리로 인한 환경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차 시장 성장에 따라 배터리 생산량이 급격히 늘면서 폐배터리 재활용의 중요성은 더욱 크게 부각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폐배터리 시장 규모는 2025년 3조원에서 2030년 12조원으로, 2040년에는 87조원 규모에 육박할 전망이다.

이 같은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모회사 LG화학과 함께 북미 최대 배터리 재활용 업체 라이사이클에 각각 300억원씩 총 600억원을 투자해 지분을 확보했고 국내 배터리 재활용 업체 재영텍과도 240억원 규모 지분투자 계약을 맺은 바 있다.

SK온은 모회사 SK이노베이션이 자체 폐배터리 수산화리튬 회수 기술과 성일하이텍의 니켈·코발트·망간 회수 기술을 결합한 국내 합작법인을 세우기로 했다. 또 SK온과 포드의 북미 합작법인 블루오벌SK는 공장에서 나오는 폐배터리를 현지 업체 레드우드 머티리얼스를 통해 재활용할 계획이다.

삼성SDI도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로부터 니켈, 코발트 등을 추출해 재활용 하며 재활용률과 원자재 회수율 향상을 위한 연구, 저비용 친환경적 소재 회수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해 리사이클 연구 랩을 신설했다. 또 파트너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재활용 기술 확보 노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