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민 정치경제부 부장대우
안희민 정치경제부 부장대우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22일 탄소중립위원회의 발표를 앞두고 '탈원전' 진영과 '탈탈원전' 진영이 다시 격돌할 전망이다. 탈원전 측은 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더 높게 가져가야 한다는 논리를 펼 것이다. 탈탈원전 측은 산업계의 현실을 강조하며 설정된 목표 달성도 어렵다고 강변할 것이다. 

문제는 양측의 주장들이 현실의 여러 변화나 세부요소들을 반영치 않고 이념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로 합의점을 찾지 못한채 자신의 입장만 견지하는 참호전처럼 반목이 끊임없이 되풀이될 조짐이다.  과연 바람직한 일일까?

그간 각종 글에서 표현한 재생에너지에 대한 필자의 애정은 지금도 변함이 없지만 필자는 재생에너지가 원전이나 LNG, 수소 등 다른 에너지를 배타해선 안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밑도 끝도 없이 마치 신앙처럼 '재생에너지만이 답이야'라는 식의 편파적인 시각에 절대 동조할 수 없다. 재생에너지도 원자력처럼 건설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함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가령 해상풍력발전은 자연 친화적이지만, 이런 발전소 건설은 토목공사 성격이 강하다. 풍력발전기가 설치된 원거리에서 해상까지 선로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구조물이 필수적이다. 구조물로는 내식성 콘크리트만한 것이 없다. 당연히 석탄을 매개로 만들어진 시멘트가 필요하다.

풍력탑을 만드는 각종 구조물은 어떤가? 구조물의 주재료인 철강을 제조하기 위해선 철광석(산화철)에 석탄을 섞어 철을 분리한다. 이 과정에서 찌꺼기와 CO2가 생긴다. 철을 고로에 녹여 용융철을 만들 때 필요한 에너지도 대부분 석탄발전에서 얻는다. 이러한 점은 해상풍력발전이 건설과정에서 상당한 CO2를 내뿜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진영으로 갈라져 싸우기보다 실질적으로 발전소를 짓는 과정에 서 CO2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가령, 수소환원제철 공법으로 만든 철강을 쓰거나 시멘트를 제조할 때 CO2를 포집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도 산입해 발전비용이나 전력판매비용도 산정할 필요가 있다. 

각국이 다시 보호무역주의로 돌아서고 있다. 자원, 투자, 거래방식뿐만 아니라 탄소도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고 있다.  에너지, 환경 문제를 이념으로만 받아들여 원자력발전 혹은 재생에너지발전 어느 한쪽이 우월하다고 강조할 경우 수출중심국가인 한국이 내놓을 수 있는 카드는 몇 개되지 않는다.  보다 유연하게 접근해 실사구시할 때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