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수용성 확보가 관건”…'해상풍력 인재 육성 사관학교' 자부

올해 2월 부임한 김석무 한국해상풍력(주) 대표이사. 그는 한해풍이 서남해 400MW 시범사업도 성공시킬 것이라고 자신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올해 2월 부임한 김석무 한국해상풍력(주) 대표이사. 그는 한해풍이 서남해 400MW 시범사업도 성공시킬 것이라고 자신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한국의 해상풍력 인재 육성 사관학교임을 자타가 공인하는 기업이 있다. 바로 한국해상풍력(주)(대표 김석무, 이하 한해풍)이 주인공이다.

한해풍은 2011년 11월 11일 서남해 2.5GW 해상풍력 개발사업의 원대한 꿈을 안고 출항한 지 9년만인 2020년 1월 고창·부안 해역에 60MW 실증단지를 준공했다. 현재는 부안 위도 앞바다에 400MW 시범단지 조성을 준비 중이다. 

23일 기자와 만난 김석무 대표는 “주민수용성 확보가 2027년 400MW 시범단지 착공 성공의 관건”이라며 “이를 위해 전북 부안 본사와 위도, 고창 변전소, 서울 남산스퀘어빌딩의 사무소를 오가는 생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출자한 한해풍은 이름 그대로 한국 해상풍력사업의 산증인이자 역사다. 출범일에 '11'이라는 숫자가 3개 있어 '길하다'며 서남해 2.5GW 해상풍력발전사업(당시엔 2.4GW가 목표치)을 희망차게 시작했지만, 중앙정부의 무관심과 주민수용성이라는 난관에 부딪혀 2017년 5월에야 해상공사를 시작할 수 있었고 2019년 7월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그 사이 사업명칭은 ‘전북 서남권 주민상생형 대규모 해상풍력사업’으로 바뀌었다. 정부는 주민수용성을 강조하며 수산업 공존 등 주민혜택을 제안했고, 사업명칭에도 주민수용성을 강조하는 문구를 반영했다.

기자는 한해풍의 60MW 실증단지 준공까지의 과정을 지켜봤다. 2015년 국감에선 신재생보다 원전에 방점을 두는 산업부 장관의 모습을 기사화했고, 2017년 8월에는 해상풍력 건설사업에 반대하는 어민에게 제소당해 언론중재위원회에 회부되기도 했다. 같은해 10월 해발 80m 높이의 풍력터빈 TC-Ⅱ에 직경 100m의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기사를 보도했고, 해상변전소와 해상풍력발전기 설치 현장의 르포를 작성했다.    

그런만큼 한해풍의 대표를 다시 만나는 일은 기자에게 깊은 의미로 다가왔다. 전임 이승연 대표는 60MW 실증단지의 초석을 놓았고, 이봉순 전 대표는 60MW 실증단지 준공식을 치렀다. 이제 김석무 대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400MW 시범단지 조성에 도전하고 있다. 올해 2월 1일 부임한 김 대표의 올해 목표는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하는 일이다. 

최근 국회에서 해상풍력 특별법이 3종 발의되며 해상풍력사업의 지형이 조금 복잡해졌다. 해상풍력발전사업자에게 개별적으로 맡겼던 사업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가 적극 나서 해상풍력사업을 공모 방식으로 전환하려는 시도가 입법안에 담겼다. 해수부는 어민의 주민수용성 확보를 명분으로 산업부, 환경부에 이어 해상풍력사업의 관할 관청이 되고자 나서고 있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해상풍력 특별법 입법이 추진되고 있지만 한해풍엔 특별한 건 없다”며 “한해풍의 사업추진이 법안보다 앞서나가기 때문에 법률이 시행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해상풍력 특별법이 한국의 해상풍력사업을 정돈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고민은 보다 현실적이다. 서남해상풍력 400MW 시범단지에 경제성 등을 고려해 외국산 풍력터빈을 설치해야할지, 아니면 국내 풍력터빈 제조업체에 기회를 줘야할지 한참 가치판단 중이다.

현재 8MW와 5.5MW, 3.3MW, 3MW 풍력터빈 라인업을 갖추고 60MW 실증단지에 풍력터빈을 공급한 바 있는 두산에너빌리티는 20MW 이상 풍력터빈 상용화 시기를 2029~3030년으로 잡고 있다. 

문제는 이를 400MW 실증단지에 적용하기엔 시기적으로 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400MW 실증단지 착공시기는 2027년이고 설계와 풍력터빈 주기기 선정, 사전 기초공사 등은 착공 2년전부터 진행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또 해상풍력 시범단지는 풍력발전 기자재와 구조물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실증단지와 달리, 실제 수익 확보, 즉 경제성 평가가 보다 중요하다. 실증단지 사업이 성공해야 서남해 2GW 확산사업으로 이행할 수 있고, 서남해 2.5GW 해상풍력발전단지 완성의 기초를 놓을 수 있다. 

김 대표는 “다른 해상풍력발전 단지는 외국산 풍력터빈을 선호하지만, 한해풍은 국내 풍력산업 육성 또한 고려하다보니 국산 터빈을 사용해달라는 요청을 많이 받는다”며 “국내 해상풍력 공급망 육성, 글로벌 시장동향, 주주의 요구, 경제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판단 중”이라고 밝혔다.

또 한가지 고민은 주민수용성 확보이다. 정부는 2030년 해상풍력 12GW 확보를 목표로 설정했는데, 이는 현재 설치된 해상풍력 설비용량 124MW 대비 100배에 해당한다. 

이와 관련 김 대표는 “2030년 해상풍력 12GW 목표는 지금 설치된 규모의 100배”라며 “허가 기준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지만 주민수용성 측면에서 볼 때 가능한지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이러한 여러가지 과제들이 있지만 해상풍력에 대한 김 대표의 확신은 분명하다. 

김 대표는 “해상풍력이 가야할 길이며, 물러설 수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2050년 탄소중립과 2030년 NDC 목표 달성을 위해 선택의 여지가 없다”며 해상풍력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중추가 될 것으로 봤다. 

이러한 판단의 배경엔 2011년 이후 한해풍이 쌓은 업력과 노하우, 난관을 해결해 온 노련함이 있었다. 

김 대표는 “한해풍이 한국 해상풍력사업에서 많은 역할을 해온만큼 실증단지 60MW의 운영 현장과 주민수용성 확보 과정을 배우려고 전국에서 사업현장 견학을 많이 온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해풍 지분 출자사 대부분 2년 동안 한해풍에 임직원을 파견하는데, 파견 후 본사로 돌아간 그들이 해상풍력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요소요소에서 해상풍력 사업 추진의 중심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해풍이 ‘한국 해상풍력의 인재 육성 사관학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김 대표는 산업부 전력진흥과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고, 산업민원팀장, 국가기술표준원 지원총괄과장을 역임했다. 그의 경력에서 나오는 혜안과 해상풍력에 대한 확신이 서남해 400MW 해상풍력 시범단지 성공의 밑거름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