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현황·결과물 공유하는 사례는 흔치 않아 '갸우뚱'
개정 입법화 지지부진·세부 가이드라인 입장차도 여전

지난 6월 국회에서 열린 '우리 기업에 힘이 되는 STO(증권형 토큰)' 토론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6월 국회에서 열린 '우리 기업에 힘이 되는 STO(증권형 토큰)' 토론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영문 인턴기자] 증권업계의 새로운 먹거리 사업으로 꼽히는 토큰증권 시장 선점을 위해 증권사들의 토큰증권 관련 파트너십 확장세가 다시 거세지고 있다. 다만 투자처 확대 외 파트너십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는 시선이 적지 않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토큰증권 업무협약 소식이 쏟아지고 있다. 현재 국회에 계류된 토큰증권 법안이 다음달 처리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는 금융위원회의 의지에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토큰증권은 부동산, 미술품 등 실물 및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증권화하는 것으로 토큰증권이 시행되면 사실상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에 대한 조각 투자가 가능해진다.

증권사들은 토큰시장 선점 및 시장 내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과 협업을 맺고 있다. 토큰시장 내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되는 증권사들에게는 양질의 투자처 확보가 향후 플랫폼의 경쟁력이기 때문이다.

지난 25일 IBK투자증권은 토큰증권 생태계 조성을 위해 협의체인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간담회에는 IBK투자증권을 비롯해 회계법인과 법무법인, 명품 조각투자 플랫폼 트레져러 등 다수의 관련기업이 참여했다. IBK투자증권은 내년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같은날 미래에셋증권은 토큰증권 실무협의체 연합 'STWG'에 결제대행(PG) 전문업체 갤럭시아머니트리가 합류했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증권은 별도로 SK텔레콤, 하나금융그룹과 함께 NFI라는 토큰증권 금융컨소시업을 결성한 바 있으며 NFI가 생태계를 구축하고 STWG가 다양한 투자처를 제공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토큰증권 시장을 공략 중에 있다.

지난 12일에는 한국투자증권이 비상장 주식거래 플랫폼을 운영하는 서울거래와 협약을 맺었다. 한국투자증권을 중심으로 한 토큰증권 협의체인 '한국투자ST프렌즈'에는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 콘텐츠 투자 플랫폼 펀더풀과 토지건물 거래플랫폼 밸류맵 등 여러 기업들이 동참하고 있다.

각자의 전략으로 토큰증권 관련 인프라를 구축해온 증권사간의 협의체도 눈에 띈다. KB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은 지난달 26일 증권사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3사는 토큰증권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형 증권사가 모인 공동 인프라가 필요함을 느꼈으며 비용 효율화 및 불필요한 인프라 경쟁을 벗어나 토큰증권 사업영역에 더욱 집중할 수 있어 컨소시엄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밖에도 키움증권은 올해 코스콤, 뮤직카우와 제휴를 맺었으며 대신증권은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 '카사'를 인수해 지난 9월 압구정에 위치한 빌딩 공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 같은 증권사들의 토큰증권 관련 공격적인 행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존재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토큰증권 연합에 참여하는 기업은 갈수록 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업 진행 사항이나 결과물 등을 공유하는 사례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증권사의 토큰증권 관련 재빠른 움직임에도 제도 정비는 다소 부진한 상황이다.

올 2월 토큰증권 관련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7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토큰증권 법제화를 위한 전자증권법 개정안과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으나 이후 특별한 진척은 없는 상황이다.

지난 25일 열린 '토큰증권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방안' 세미나에서도 빠른 법 개정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나왔다.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토큰증권 제도 관련 소득세 법령 개정 등 과세제도 개선 노력은 가시적으로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천성대 금융투자협회 증권 선물본부장은 "입법화가 늦어질수록 비용문제, 불안정한 문제가 생긴다"고 우려를 표했다. 

또 올 초부터 이어진 토큰증권의 발행·유통 분리에 대한 입장차이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는 시장 활성화가 저해될 것으로 우려해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반면 금융당국은 현재 규제 완화보다는 투자자 보호에 집중해야 할 시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