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전기 매도 의혹 등 각종 논란 휩싸여 압수수색
일부 직원들 내부정보 이용 가족·지인 명의로 투자도
최악 시련 속 검찰 수사결과 따라 거취에 영향 끼칠듯

황현순 키움증권 대표(왼쪽),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 사진=연합뉴스
황현순 키움증권 대표(왼쪽),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김영문 인턴기자] 올 3월 연임에 성공하며 2026년까지 대표직을 이어갈 예정이었던 황현순 키움증권 대표가 연이은 논란의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내부통제 이슈로 몸살을 앓았던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이사 부회장의 거취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황현순 키움증권 대표는 지난 9일 이사회에 사임 의사를 전달했다. 키움증권은 황 대표가 대규모 미수채권 발생에 대한 도의적 책임을 지기 위해 이같은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16일 이사회에서 황 대표의 사임 의사 표시에 따른 후속 절차를 논의할 예정이다.

키움증권은 지난달 20일 영풍제지 관련 5000억원 규모의 미수금 발생을 공시했다. 이후 미수금 회수를 위해 반대매매를 진행했으나 무려 6거래일 연속 하한가 기록을 세우며 미수금의 12%인 약 610억원만 회수하는 데 그쳤다. 

키움증권 측은 채권 추심 등으로 최대한 손실을 줄이겠다고 밝혔지만 쉽지 않아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주가조작 일당이 재판을 받고있는 등 다소 시일이 걸리거나 추심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며 "남은 미수금인 약 4333억원은 4분기나 늦어도 내년에는 충당금으로 처리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앞서 주가조작 세력에 의해 영풍제지 주가가 장기간 상승세를 보였지만, 키움증권은 다른 증권사들과 달리 미수거래 증거금률을 상향하지 않고 40%를 유지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키움증권이 리스크 관리에 실패했다고 지적하고 있다.

황 대표는 이번 영풍제지 사태 이전에도 라덕연 사태로 인해 한차례 홍역을 치른 바 있다.

지난 4월 라덕연과 그 일당이 다우데이타를 포함한 주식 8종목을 시세조종한 정황이 드러났는데 이 과정에서 키움증권의 차액결제거래(CFD) 계좌가 주로 이용됐다. 시세조종의 여파로 해당 종목들이 급락해 미수금이 발생했으며 키움증권은 2분기 CFD 관련 충당금 700억원을 반영했다.

라덕연 사태 이후 6개월도 안돼 영풍제지 사태 발생으로 사고가 재발했을 뿐만 아니라 충당금의 규모는 6배 넘게 커졌기 때문에 황 대표의 내부통제 실패에 대한 책임을 피하기 어려웠다.

이번 황 대표의 사의 표명이 최희문 메리츠증권 대표의 거취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최 대표는 2010년부터 메리츠증권 대표를 맡았으며 지난해 4연임에 성공한 현역 최장수 CEO다. 그러나 올해 메리츠증권이 이화전기 거래정지 전 주식매도 의혹, 임직원들의 업무상 취득 정보 사적이익 활용 등 각종 논란에 휩싸이면서 최 대표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메리츠증권은 지난 5월 김영준 이화그룹 회장의 횡령 및 배임 혐의로 이화전기의 거래 정지 직전 보유 중이던 지분 32.22% 전량을 매도해 약 90억원의 차익을 실현했다.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내부정보를 미리 알고 매도를 진행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또 지난달 금감원 조사에서 메리츠증권 투자은행본부 일부 직원들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면서 알게 된 정보로 가족과 지인 등 명의로 투자해 수십억원의 수익을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이은 논란으로 인해 최 대표는 지난달 17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해명하기도 했으며 메리츠증권은 지난 6일 압수수색을 당했다. 

업계는 메리츠증권에 대한 검찰 조사 결과에 따라 최 대표의 거취가 정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희문 대표의 그간 성적을 본다면 임기인 2025년까지 재임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라며 "다만 지난달 국감 출석과 메리츠증권이 압수수색을 당하는 등 취임 이후 가장 큰 시련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번 조사가 큰 분기점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