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용 URL은 방사성폐기물 관련 인허가 필요 없어 전환 불가능”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은 한국에서 추진 중인 연구용 URL이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용될 여지가 없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은 한국에서 추진 중인 연구용 URL이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용될 여지가 없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원자력환경공단 조성돈 이사장은 연구용 지하처분시설(URL)을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를 근거없는 얘기라고 잘라말했다. 

조 이사장은 28일 기자와 만나 “해외에서도 연구용 URL을 고준위 처분장으로 전환한 사례는 없다”며 “그렇게 이야기 하는 분은 앞으로 큰 망신을 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수립한 제2차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5138억 원(기술투자비 제외)을 들여 연구용 URL(Generic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을 설치할 계획이다. 지난 25일 지자체를 상대로 한 공청회에는 태백, 정선을 포함한 지자체 5곳이 참여했다. 

그런데 연구용 URL 설치 과정이 순탄치는 않은 상황이다. 탈원전을 주장하는 일부 환경운동가들이 연구용 URL을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용할 것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조 이사장은 “연구용 URL은 순수한 연구시설”이라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련 기술이 사용되지 않았으며 더 중요한 건 원자력안전 규제기관의 인허가를 받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보통 방폐장 인허가에 5~10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연구용 URL은 인허가가 필요 없어 그냥 지자체에서 건설하면 된다”라며 “인허가도 없는 일반 시설에 고준위 방폐물을 집어 넣는다고 주장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조 이사장에 따르면 해외에서도 연구용 URL을 고준위 방폐장으로 전용한 사례가 없다. 조 이사장은 "다만 프랑스 뷔르의 경우 연구용 URL과 고준위 방폐장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지만 두 시설 간 거리가 상당하다”고 강조했다. 즉, 일각에서 주장하는 프랑스에서도 연구용 URL을 방폐장으로 전용한 것이 아니라는 게 그의 말이다.

조 이사장은 “한국에서 연구용 URL 설치 사업이 원만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본다”며 “올해 연구용 URL 설치 장소를 확정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