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R114, 하반기 집값 설문조사…36% “오른다”, 21% "떨어진다"
매매가 상승 이유 3분의 1, '핵심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 응답
[데일리한국 김하수 기자] 집값이 다시 오름세에 접어들면서 하반기 집값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국민들은 하반기 집값을 좌우할 주요 변수로 △대외 경제성장률 등 경제여건 △기준금리 △정부 규제완화 등을 꼽았다.
부동산R114는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1028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10명 중 3명 이상(36%)이 하반기 주택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보합에 대한 전망이 10명 중 4명 수준으로 여전히 가장 많은 답변을 차지했고,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자는 21%였다.
매매가격 상승 응답자 다수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2.05%)’을 이유로 꼽았다. 올해 들어 서울 강남권과 '마‧용‧성' 등의 한강 벨트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늘어나면서 외곽지 중심으로 거래량은 물론 가격도 회복세에 들어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는 ‘기준 금리 인상 기조 변화(23.56%)’를 주요 이유로 선택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2023년 2월 이후 1년 이상 연 3.5% 수준에서 동결됐고, 미국도 2023년 9월 이후 1년 가까이 연 5.25~5.5%로 동결돼 하반기 금리 인상 사이클 종료(인하)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어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11.23%) △아파트 분양시장 활성화(9.32%)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7.40%) 등이 집값 상승 이유로 꼽혔다.
매매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경기 침체 가능성(39.91%)’을 이유로 선택했다. 과거 대비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저성장)과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 등으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그 다음 하락 요인으로 △대출 금리 부담 영향(14.22%)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10.55%)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10.55%) △이자 및 세금 부담으로 인한 매물 증가(7.80%) 등이 뒤를 이었다.
매매 전망과 달리 임대차 가격에 대한 답변은 상승 전망이 하락 전망을 크게 압도했다. 전세 가격은 상승 응답이 42.80%, 하락 응답이 13.33%로 상승 비중이 3배 이상 많았다. 월세 가격 전망도 상승 응답이 44.75%, 하락 응답이 9.82%로 4.6배나 더 많다. 최근 들어 수요 대비 전세물건 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상대적으로 신축 공급이 부족한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전월세 가격의 추세 상승이 예견되는 분위기다.
전세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440명 중 30.91%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도권 주요지역 위주로 회복된 가격에 대한 부담감과 과거 대비 높은 대출 금리 등으로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일 수 있다는 의미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19.5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물량 부족(19.55%)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12.05%) △월세가격 오름세에 따른 전세가 상승 압력(10.68%) 등이 전세가격 상승 이유로 꼽혔다.
전세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26.2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약 1.2만세대의 올림픽파크포레온(둔촌주공 재건축단지)의 입주가 2025년에서 2024년 11월로 빨라지면서 인접 지역에서의 전세가격 하락 기대감이 커진 분위기다. 그 다음으로는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18.25%)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15.33%) △전세보증보험 가입요건 강화 영향(10.22%) △2020~2021년 전세가격 급등 부담감(10.22%) 등이 전세가격 하락 이유로 선택됐다.
소비자들은 올해 하반기 집값을 좌우할 핵심 변수로 ‘국내외 경기회복 속도 등 대외 경제여건(33.95%)’을 1순위로 꼽았다. 최근 금리와 관련된 이슈가 뒤로 밀리고 경제성장률 및 수출과 관련된 거시 경제 이슈가 선두로 부상한 분위기다.
그 외 주요 변수로는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및 인하 여부(15.66%)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1.87%)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8.95%)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8.85%) △정부의 270만호+α 주택공급 정책(6.03%) △건축비 등 물가상승(인플레이션) 요소(6.03%) △PF 부실 및 금융권 연체율 상승 가능성(5.25%) 등을 선택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팀 수석연구원은 “주요 우수입지를 시작으로 가격이 고점 수준을 일부 회복하면서 매수심리가 살아나는 분위기”라며 “다만 비강남이나 수도권 외곽·지방은 회복세가 더뎌 지역별 집값 격차는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정부가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연착륙 방안 발표 이후 부실 사업장 정리와 정상 사업장 선별 지원 등의 옥석 가리기에 나선 가운데 실제 PF 시장의 연착륙 유도가 가능할지 건설사와 금융권 움직임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