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김택수 기자] 지진 재해 후 해당 지역의 주택 가격은 3년간 하락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6일 국토연구원은 보고서 '지진재해가 지역 주택경기에 미치는 영향:포항지진 재해를 대상으로'에서 2017년 11월15일 발생한 포항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재해가 주택가격에 끼친 영향을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 결과, 지진 이전에는 지진 발생 지점인 포항시 북구의 평균 주택 실거래가격이 포항 남구보다 높았지만, 지진 후에는 북구의 실거래가 하락폭이 남구보다 더 컷다.
지진 발생 후 북구 아파트 실거래가 하락은 시간이 흐를수록 낙폭이 더 커졌다. 특히 2019년 3월 지진 원인이 인재라는 정부 발표 이후 북구 실거래가는 더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면 남구는 지진이 발생하기 전보다 발생 이후 가격이 오히려 상승했다. 남구는 실거래가 상승 폭이 시간이 갈수록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치주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이 연구는 지진 발생 지역(북구)과 지진 발생지역과 떨어져 있으나 지리적 특성이 유사한 인접 지역(남구)을 분석대상으로 분류했다"며 "북구의 아파트 실거래가격이 남구보다 다시 높아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지역 주택경기가 회복한다고 가정하면, 지진 발생 후 약 3년 동안 그 피해가 주택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는 해외 사례 분석 결과인 1달 내외보다 크게 긴 기간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이 연구 사례는 인재(human-made disaster)에 의한 촉발 지진이라는 점을 염두해야 한다. 아울러 이처럼 특수한 경우에 적용할 복구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며 "자연재해에 따른 주택가격 하락 등의 간접손실에 대한 복구대책으로 생활 SOC 사업과 도시재생사업, 노후 인프라 성능개선 사업 등의 확대를 통해 주민 삶의 만족도 향상에 대한 노력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포항지진은 규모 5.4의 본진이 발생해, 여진이 지속되다가 2018년 2월11일에 규모 4.6의 가장 큰 여진이 발생한 후는 점차 감소했다. 진원 깊이는 지진 관측소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평균 약 7㎞로 조사됐다. 재산 피해액은 총 약 850억원(복구비용 약 1800억원)으로 사유시설은 약 581억원(복구비용 약 644억원), 공공시설은 약 268억원(복구비용 1156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