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안병용 기자] 3월은 기업들의 주주총회(주총) 시즌이다. 올해 각 회사들을 달굴 이슈들은 무엇이 있을까. 우선적으로는 경영진과 임원 변동 상황을 주목할 만하다.
28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내달 15일 주총을 개최한다. 당초 이번 주총은 지난해 승진한 이재용 회장의 등기임원 복귀전이 될 것으로 보였다. 지난해 삼성전자 이사회가 이 회장의 승진 안건을 의결하면서 밝힌 책임 경영 강화와 경영 안정성 제고에 따른 관측이었다.
하지만 이 회장의 등기이사 선임 안건은 포함되지 않았다. 사법 리스크가 아직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혐의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 재판을 받고 있는 이 회장은 2019년 10월 임기 만료 이후 미등기 임원 신분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현재 실질적으로 오너 역할을 하고 있는데 굳이 등기임원으로 복귀해야 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면서 “재판 문제도 여전히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KT는 그 어느 때보다 뜨거운 주총 시즌을 보낼 전망이다. 구현모 대표가 이번 주총을 끝으로 직을 내려놓기 때문이다. 후임자 인선은 안갯속이다. 33명이 난립했다. 과거 정부에 몸 담았던 이른바 ‘올드보이’와 정치권 출신 인사들이 대거 경선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전문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이사회의 다양성 확대도 올해 주총의 또다른 관전거리다. 여성 사외이사 선임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LG디스플레이는 내달 21일 열리는 주총에서 박상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를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하는 안건을 논의한다. 의결될 경우 지난해 선임된 강정혜 서울시립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에 이어 두 번째 여성 사외이사 탄생 사례가 된다.
SK하이닉스도 주총에서 여성 사외이사를 늘리는 안건을 논의한다. 현 한애라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재선임하고, 김정원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과 장덕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석좌교수를 신규 선임하는 내용이다.
다음으로 사업 확대도 올 주총의 초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각 기업들은 사업 정관에 신규 사업을 추가할 예정이다.
LG전자는 내달 27일 열리는 주총에서 사업목적에 특정 기업이나 장소에 5세대 이동통신(5G) 환경을 구축하는 기간통신사업과 뷰티·의료기기와 결합하는 화장품 판매업을 추가한다. 대한항공은 내달 22일 주총에서 기내 인터넷 통신을 제공하는 전기통신사업을 넣는다. 현대차·기아는 인증중고차 관련 사업을 하는 금융상품판매대리·중개업을 추가한다.
아울러 일부 기업들은 사명 변경도 잇따른다. 미래 먹거리를 준비하는 차원이다.
포스코케미칼과 포스코ICT는 각각 포스코퓨처엠, 포스코DX로 간판을 바꿔단다. 퓨처엠은 퓨처(미래)라는 단어에 Materials(소재)나 Move(변화)의 첫 글자인 ‘M’을 조합한 단어다. DX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의미한다.
KG그룹 품에 안긴 쌍용자동차는 내달 22일 주총에서 KG모빌리티로 사명을 바꾼다. 단순한 자동차 제조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자동차’를 떼어내고 모빌리티라는 이름을 전면에 내건다. 자동차 이외의 사업에 발 들일 가능성을 연 것이다.
마지막으로 활발한 주주행동주의도 예상된다. 경영진에게 모든 결정을 맡기는 소극적 투자자가 아닌 기존 주주의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는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K팝 대표 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의 경영권 분쟁 사태가 대표적이다. SM엔터테인먼트 이사회에 진입한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은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안건을 관철시키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내 7대 금융지주에는 주주환원 정책 도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태광산업 지분을 보유한 트러스톤자산운용은 태광에 △배당성향 20% 이상으로 상향 △조인식 전 국민연금 최고투자책임자(CIO) 직무대리의 감사위원 겸 사외이사 선임 △액면분할 등을 요구했다. 안다자산운용과 플래시라이트캐피털파트너스(FCP)는 역시 KT&G에 자신들이 추천하는 인물의 사외이사 선임과 한국인삼공사(KGC) 분리상장 등을 제안했다.
적극적인 주주행동주의가 예상되는 한 기업의 관계자는 “주주 가치를 최대로 끌어올리는 목적 이면에 회사의 정당한 경영 활동을 훼손할 가능성도 있다”면서 “상법 등 관련법을 면밀하게 검토해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