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한국재무학회 컨설팅 결과 "정부 배당 감소할수도"
[데일리한국 정우교 기자] 산업은행 본점이 부산으로 이전했을 때 7조원이 넘는 누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관측이 나왔다.
기존 고객의 거래 중단 등으로 수익이 줄고, 추가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게 관측의 근거인데, 산업은행의 지원을 받거나 거래하고 있는 금융기관, 기업들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분석도 있었다.
31일 산업은행 노동조합이 발표한 '부산 이전 타당성 검토 연구용역 발표회'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이 다뤄졌다. 발표를 맡은 김이나 한국재무학회 연구원은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시 10년간 총 7조39억원의 기관 손실이 예상된다"라며 "이는 수익 감소분과 비용 증가분을 합산한 수치로, 이는 작년 순익 4650억원의 15배에 달하는 금액이다"라고 말했다.
김이나 연구원은 수익 감소 요인에 대해 △동남권 내 절대적으로 적은 거래처 △기존 고객의 거래 중단 △신규 형성되는 딜에서 배제 △인력 이탈로 인한 금융전문성 약화 등을 꼽았다. 동시에 비용 증가 요인으로는 △신규 사옥 건립(1810억원 상당) △주거 공급·정착 지원비 △퇴직금·인력 충원 비용 △업무구조 재·개편, 출장지원 등을 언급했다.
김 연구원은 부산 이전은 기관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총 15조4781억원의 손실을 끼친다고 경고했다. 이는 부산이전에 따른 손실 전망치(16조7233억원)에서 정부, 부산시 등이 강조하고 있는 파급효과(1조2452억원)을 제한 금액이다. 그는 또한 부산 이전을 하게 되면 동남권 편중 현상도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산업은행은 정책금융, 구제금융 등을 역할을 하고 있지만, 부산으로 이전하면 이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다면 약 480개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 적시에 지원을 못받게 되고 약 2조6678억원의 연간 손실이 예상되며 도산의 가능성도 있다"라며 "기업 한 곳의 도산은 5개 기업의 도산 가능성을 불러 올 수 있다. 구조조정 기업 도산 가능성으로 인해 총 22조156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라고 짚었다.
또한 "산업은행은 최근 3년간 총 1조2000억원을 정부에 배당한다"라며 "부산 이전 시 막대한 기관 손실로 배당금 지급이 불가하다"라고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산업은행의 고객·협업기관의 83.8%가 이전을 반대한다고도 했다.
그 이유에 대해선 "운용사, 증권사, 중개기관이 몰려 있는 이유는 집적효과, 적시성 때문이다"라며 "부산으로 갈 경우 타 기관들의 금융전문성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끝으로 "이번 컨설팅은 철저하게 재무적 파급효과 관점에서만 검토했다"라며 "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은 해당 기관뿐만 아니라 타 금융기관과 기업, 국가 경제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온다는게 결론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 부산이전 추진은 특정 지역 수혜를 위해 국가경제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는 의사결정이다"라며 "산업은행 단일 기관뿐만 아니라 전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한편, 금융경제연구소의 연구용역 결과도 이날 공개됐다.
조혜경 금융경제연구소장은 "국가균형발전, 지역금융발전을 본사를 옮기는 것으로 해결할 수 없다"라며 "(본사 이전이 아니라) 정책금융기관인 산업은행이 지역금융발전에 대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줘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