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강원 속초시 속초항에서 북방항로의 정식 취항을 앞둔 오리엔탈 펄 6호가 시범운항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1월 강원 속초시 속초항에서 북방항로의 정식 취항을 앞둔 오리엔탈 펄 6호가 시범운항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최용구 기자] 글로벌 해운사들이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를 요구하고 나서며 국내 업계엔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9일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MacNet)가 진행한 전략세미나에선 한미 간 녹색해운항로 구축에 관한 기대감와 동시에 불확실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해운업계는 녹색해운항로 구축이 필요하다면서도 연료비, 인프라, 기술성숙도, 법규 등을 장애물로 꼽았다. 탄소 배출과 에너지 효율에 대한 화주들의 요구 조건이 까다로워지며 의사결정이 힘든 상황이라는 것이다. 

녹색해운항로는 무탄소 연료 등 친환경 기술을 활용해 해상운송 전 과정의 탄소 배출을 없애는 개념이다. 지난해 말 기준 약 44개의 녹색해운항로 관련 협력안이 발표됐지만 아직은 선언적 수준이다. 

해양수산부는 녹색해운항로 설정을 놓고 부산항에서 타코마항(미국 시애틀)으로 이어지는 항로와 울산·마산항부터 타코마항 구간까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연말께 한미 간 녹색해운항로에 관한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으로 미국과 협의에 대응할 수 있는 실제적인 이행 계획이 중요해진 상황이다. 

해운업계는 국제해사기구와 유럽연합의 각종 탈탄소 규제에 둘러싸여 있다. 규제 품목 및 범위가 제각각이기 때문에 전략적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에선 정부 차원의 스탠스가 적극적이지 못하단 지적도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속도감 있는 대응을 저해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퍼스트무버들은 오히려 강력한 규제를 요구하고 있다. 세계 2위 해운사 머스크(덴마크)는 1톤의 온실가스 배출에 최소 450불(약 62만원)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규제의 큰 대상이 오히려 규제를 강화하자며 나선 것이다.        

김영선 HMM R&D팀장은 세미나에서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지는 돌이킬 수 없다는 것을 절감한 글로벌 업계가 오히려 더 빨리 움직이자는 쪽으로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과 미국 간에 녹색해운항로를 투입하는 것은 선사의 일방적인 결정으로는 절대 이루어질 수 없기에 여러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송강현 한국선급 친환경선박해양연구소장은 “녹색해운항로 이행에 따른 경제적 리스크에 대해 화주들이 얼마큼의 탄소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지도 과제”라고 했다.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MacNet)는 지난 9일 부산에서 전략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진=MacNet 제공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MacNet)는 지난 9일 부산에서 전략세미나를 진행했다. 사진=MacNet 제공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