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한국 박준영 기자] 슬픔을 나누는 방식은 다양하다. 누군가는 침묵한 채 슬픔을 삭이고, 또 누군가는 떠나간 이를 그리며 구슬픈 자락을 읊는다.
여러 방식 중 윤석열 대통령은 연이은 조문을 택했다. 지난 29일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이튿날 국가애도기간을 선포한 뒤 매일 아침 조문을 이어오고 있다. 4일까지 벌써 닷새째 조문이다. 가족의 일처럼 여기는 대통령의 마음이 담긴 추모라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설명한다.
애도를 하는 데 있어 정답은 없다. 다만 방식이 아쉽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대한민국 최고 책임자로서 진정성 있는 사과가 우선돼야 하지 않았을까. 무려 156명, 아직 피지도 못한 앳된 젊음이 허망하게 스러졌다. 2014년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 이후 불과 8년만에 마주한 날벼락 같은 소식이었다.
현상도, 사고도 아닌 대형 참사에 대한민국은 또다시 슬픔에 잠겼다. 한순간에 천금과 같은 자식을 잃고, 벗을 잃은 이들은 목 놓아 울부짖고 있다. 아비규환 속 ‘행정의 부재’를 목도한 온 국민은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경찰이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112 신고를 받고도 적절한 대처를 하지 않은 사실은 모두를 경악하게 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8월 취임 기자회견에서 “국민의 숨소리 하나 놓치지 않고 한 치도 국민의 뜻에 벗어나지 않도록 국민의 뜻을 살피겠다. 저부터 분골쇄신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이태원의 좁디좁은 골목에서 죽어간 156명의 생명을 지켜내지 못했다. 조문으로 애도의 마음을 표현했다면, 이젠 자신이 뱉은 말을 지키지 못한 데 따른 사과가 뒤따라야 한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비난의 화살이 쏟아질 수 있다. 사과 방식과 표현을 놓고 정쟁의 빌미가 될 수도 있다.
윤 대통령에게 ‘대통령’이라는 직책을 부여한 것은 바로 국민이다. 이유 여하를 떠나 이번 참사에 대한 진심 어린 사과가 뒤따라야 한다.
부디 잊지 않길 바란다. 국민의 안전을 돌봐야할 최고 책임자는 한덕수 국무총리도,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도, 오세훈 서울시장도, 박희영 용산구청장도 아니다. 바로 윤 대통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