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식 의원·국토부 주최, LX국토정보공사 후원 토론회
국토부 영역 넘어...새 거버넌스, 20조 예산, 도로법 개정 필요

강대식 국민의힘 국회의원과 국토부가 주최한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31일 개최했다. 사진은 환영사를 하는 강대식 의원.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강대식 국민의힘 국회의원과 국토부가 주최한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31일 개최했다. 사진은 환영사를 하는 강대식 의원.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자율주행차, 교통 시뮬레이션 등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위해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거버넌스와 예산 확충, 도로대장을 중심으로 표준화 , 도로법 개정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강대식 의원(국민의힘)은 국토교통부와 함께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대비한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구축’을 주제로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화란 도로시설물 등 도로정보를 관리하는 법적장부인 도로대장을 디지털화해 전국 도로에 관한 통합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말한다.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이란 용어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한 분야지만 007 등 첩보영화의 추격씬에서 많이 등장한다. 악당의 추격을 따돌리려는 특수요원이 차량에 설치된 화면을 통해 도시 도로망에 관한 디지털 정보를 검색해 병목구간을 피해 달아난다. 이 때 뜨는 도로망 디지털 정보가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을 통해 실현된다.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은 모빌리티 시대 준비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모빌리티는 ‘교통’의 다른 말이다. 교통이 인프라 중심의 개념이라면 모빌리티엔 엔터테인먼트, 네비게이션, 자율주행 등 ICT와 결합된 서비스의 개념이 강하다. 모빌리티가 제대로 운영되려면 세세한 도로망 정보가 필요한데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화로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화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단순한 전산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데이터의 표준화 등이 진행돼야 최신정보 갱신을 통해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박신형 서울시립대 교수는 “디지털화된 도로가 비중있게 다뤄지려면 데이터의 표준화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표준화된 포맷으로 도로대장을 제공한다면 최신정보를 갱신할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박동엽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은 “경북은 10년 전 도로대장 전산화를 시작해 겨우 완성했지만 산사태·폭우 발생 시 무용지물이었다”며 “실무에 활용 가능한 디지털트윈화가 되려면 2차원 좌표 중심에서 실시간 교통상황이 반영되는 4차원으로 구축돼야 한다”고 말했다. 

장양중 엠큐닉 연구소장도 “교통 분야의 경우 디지털트윈 활용도를 높이려면 배경맵, 도로 네트워크, 교통량이 수집돼 플랫폼으로 제공 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데이터 표준 규격과 기술 등은 글러벌 오픈 소스에 포함되도록 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4인방. 왼쪽부터 이용욱 국토부 도로국장, 김정령 LX국토정보공사장, 남두희 한국ITS학회장, 오흥운 한국도로학회장.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4인방. 왼쪽부터 이용욱 국토부 도로국장, 김정렬 LX국토정보공사장, 남두희 한국ITS학회장, 오흥운 한국도로학회장.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실현을 위해 거버넌스와 예산 확충이 필요하며 목적에 맞게 모델을 구축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더불어 디지털 도로대장을 다룰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인재 확보도 중요하다. 

채찬들 한국교통연구원 도로정책연구팀장은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작업은 현재 국토교통부의 업무영역을 벗어난만큼 거버넌스 확충이 필요하며 예산도 1km에 2억 원씩 들어 총 20조 원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디지털트윈 구축에 소요될 막대한 시간·비용 절감을 위해 목적 지향형 모델을 만들어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새로운 거버넌스란 디지털화를 맡고 있는 LX국토정보공사를 주축으로 산학연과의 협업체제를 말한다. 

조완형 다산컨설턴트 사장도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 완성을 위해 정책, 연구, 개발, 서비스를 망라한 융합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며 “더 나아가 도로를 비롯해 전력, 상하수도, 기상 등 디지털트윈 연합을 통해 국가 인프라 관리와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이를 운영할 전문 인력 양성과 산학연관의 파견·교류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가도로망 디지털트윈 완성을 위한 선결과제로 도로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시 개진됐다. 

김상민 국토부 디지털도로팀장은 “정부는 2027년까지 단계적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전국 단위 디지털 도로대장을 민간에 개발할 계획”이라며 “도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정자교 붕괴와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도로의 안전 확보를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완형 사장도 “미래 모빌리티 시대엔 이용자 관점에서 누가 관리하느냐는 중요치 않다”며 “각기 따로 이뤄졌던 도로 관리가 하나로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의 신설, 변경 시 도로대장을 표준화된 규격으로 국토교통부에 제출토록 하는 도로법 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정렬 LX국토정보공사 사장은 “대한민국은 경부고속도로가 개통된 후 SOC혁명이 일어나 모든 SOC가 확충되며 선진국 반열에 올랐다”며 “도로의 디지털화를 위한 당면 현안은 도로법 개정과 R&D 예산 확보에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화에 대해 여당 의원들이 학습하는 기회이기도 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국가도로망의 디지털트윈화란 용어를 처음 접할 때 무슨 이야기인지 몰랐지만 공부를 통해 알게 됐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그는 “디지털트윈이 무언지 무슨 이야기인지 모르겠다”며 “시대가 빠르게 바뀌고 있고 빠른 회전을 하고 있어 퍼스트 무버뿐만 아니라 패스터 무버를 겸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바일폰이 나올때만 하더라도 편리한 이동식 전화라고 생각했지 세상을 바꿀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았다”며 “모바일에 모든 정보가 있는 시대의 도로에 디지털트윈 기술을 적용하면 전세계를 지배하는 표준화를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강대식 국회의원은 “공간정보산업 중 도로 분야는 디지털트윈이나 자율주행 등 우리가 경험해보지 못한 신세계 핵심 분야”라며 “국내외 최고 전문가 여러분의 고견을 토대로 국가도로망이 공간정보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핵심 인프라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는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의 디지털트윈에 대한 학습의 장이기도 했다. 사진은 국민의힘 의원들과 대토론회 참가자들의 기념촬영.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는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의 디지털트윈에 대한 학습의 장이기도 했다. 사진은 국민의힘 의원들과 대토론회 참가자들의 기념촬영.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