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지하차도 수해 후 첫 원내대책회의서 '디지털 재난대응체계' 구축 촉구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송석준 국민의힘 국토위 간사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오송 지하차도 수해 후 처음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다.
송 의원은 19일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재난대응에 디지털트윈이나 소프트웨어적인 대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디지털 플랫폼을 완성해 달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가 디지털 정부를 지향하고 있는만큼 재난대응에도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T)을 적극 활용하자는 주장이었다.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와 만난 송 의원은 재난 대응에 '디지털 플랫폼'을 즉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아주 디테일하게 해상도 높은 공간정보 3D 지도를 구축하면 유사시에 빅데이터나 CCTV 카메라의 현장 정보와 비교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전략적이고 종합적인 대비태세를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이미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 운영 모습이 머리에 떠오르는 듯 “3D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면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관계기관이 어디인지, 어느 기관에서 신속히 조치할지, 협업기관은 어디인지를 찾아 지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2012년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으로 있을 때 전국 디지털 지도를 만든 경험을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2012년 한국판 버추월 월드, 한국판 구글어스라고 불렸던 디지털 3D 지도를 전국에 걸쳐 만든 경험이 있다”며 “평균 70cm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췄으며 북한의 경우 1m, 독도나 강남 등 특정지역의 경우 7cm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LX국토정보공사인 대한지적공사의 지적자료를 토대로 스마트 국토정보도 제작했는데 거기엔 전국토의 지번별 모든 정보와 항공사진, 지적사진이 모두 나온다”고 설명했다.
송 의원은 “디지털 3D 지도를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박근혜 정부 대통령 집무실에 재난 컨트롤타워를 만들려고 했는데, 기술적 한계가 있어 미루다가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디지털 3D 지도에 CCTV 카메라 정보 등 빅데이터를 얹어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송 의원은 “디지털 3D 지도에 특정 사이트의 CCTV 카메라로 취득한 화상정보 빅데이터를 얹는 건 어렵지 않다”고 덧붙였다.
송 의원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 국토정보 디지털트윈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중장기 재정정책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송 의원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이나 국토정보 디지털트윈 사업을 정부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핵심공약중 하나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이기 때문에 이번 정부에서 가능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이러다 지적 빅데이터 활용 시기 놓친다”…'LX공사법' 언제 통과?
- LX국토정보공사 “측량수요發 경영위기...LX공사법으로 정면돌파”
- 최고 400~500mm 비 예보…“현장 즉시 대비태세”
- 10일간 집중호우로 농작물피해 여의도면적 93배…가축 57.9만마리 폐사
- ‘오송 참사’ 내부 수색 종료…사망자 14명으로 늘어
- 與 최고위원회의, '기후변화 대응'이라면서 ‘치수 대책'에 그쳐
- LX국토정보공사, 재난지역 지적 측량 수수료 감면…"디지털트윈 구축 시급"
- [인터뷰] 김은아 국회미래연구원 혁신성장그룹장 “기후변화 ‘적응’ 위한 예측 중요”
- 에너지도 디지털트윈?...강경성, 디지털 활용 에너지시설 방재 주문
- 빅데이터 분석에서 디지털 트윈까지...'산업AI' 뜬다
- 윤재옥, "잼버리 성공 개최 위해 총력 지원"
- LX국토정보공사, 지자체 공유재산 위탁관리기관으로 지정
- 수자원공사, ‘디지털트윈’ 기술로 올 여름 수해 방지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