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지하차도 수해 후 첫 원내대책회의서 '디지털 재난대응체계' 구축 촉구

국민의힘 국토위 간사인 송석준 의원은 19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국민의힘 국토위 간사인 송석준 의원은 19일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송석준 국민의힘 국토위 간사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오송 지하차도 수해 후 처음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다. 

송 의원은 19일 열린 국민의힘 원내대책회의에서 “재난대응에 디지털트윈이나 소프트웨어적인 대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 디지털 플랫폼을 완성해 달라”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가 디지털 정부를 지향하고 있는만큼 재난대응에도 빅데이터 등 정보통신기술(IT)을 적극 활용하자는 주장이었다. 

원내대책회의 직후 기자와 만난 송 의원은 재난 대응에 '디지털 플랫폼'을 즉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송 의원은 “아주 디테일하게 해상도 높은 공간정보 3D 지도를 구축하면 유사시에 빅데이터나 CCTV 카메라의 현장 정보와 비교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전략적이고 종합적인 대비태세를 세울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이미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 운영 모습이 머리에 떠오르는 듯 “3D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면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관계기관이 어디인지, 어느 기관에서 신속히 조치할지, 협업기관은 어디인지를 찾아 지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의원은 2012년 국토해양부 국토정보정책관으로 있을 때 전국 디지털 지도를 만든 경험을 털어놓기도 했다. 그는 “2012년 한국판 버추월 월드, 한국판 구글어스라고 불렸던 디지털 3D 지도를 전국에 걸쳐 만든 경험이 있다”며 “평균 70cm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췄으며 북한의 경우 1m, 독도나 강남 등 특정지역의 경우 7cm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췄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LX국토정보공사인 대한지적공사의 지적자료를 토대로 스마트 국토정보도 제작했는데 거기엔 전국토의 지번별 모든 정보와 항공사진, 지적사진이 모두 나온다”고 설명했다.   

송 의원은 “디지털 3D 지도를 구축한 경험을 바탕으로 박근혜 정부 대통령 집무실에 재난 컨트롤타워를 만들려고 했는데, 기술적 한계가 있어 미루다가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다”며 아쉬움을 토로했다. 디지털 3D 지도에 CCTV 카메라 정보 등 빅데이터를 얹어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송 의원은 “디지털 3D 지도에 특정 사이트의 CCTV 카메라로 취득한 화상정보 빅데이터를 얹는 건 어렵지 않다”고 덧붙였다.

송 의원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 국토정보 디지털트윈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중장기 재정정책사업에 반영할 계획이다.  

송 의원은 “디지털 플랫폼 재난정보망이나 국토정보 디지털트윈 사업을 정부 예산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핵심공약중 하나가 디지털 플랫폼 정부이기 때문에 이번 정부에서 가능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