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US는 온실가스 직접 감축 수단…여러 전환기술과 결합한 사업모델 필요”

한국CCUS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공주대 권이균 교수는 14일 기자와 만나 민간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낼 CCUS 인프라 구축과 CCS 시범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한국CCUS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공주대 권이균 교수는 14일 기자와 만나 민간기업의 투자를 이끌어낼 CCUS 인프라 구축과 CCS 시범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사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온실가스를 직접 감축할 수 있는 CCS(Carbon Capture & Storage : 탄소포집·저장) 시범사업과 민간투자를 이끌어낼 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인프라에 투자를 확대해야 합니다."

한국CCUS추진단을 이끌고 있는 권이균 공주대 교수는 14일 동해가스전 CCS 시범사업과 관련해 “한국 기술력과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집약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사례이기 때문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동해가스전은 가스생산이 중단된 광구로 석유공사는 동해가스전을 CCS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국석유공사 측은 동해가스전 활용 실증사업을 위해 10년간 2조 원의 예산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석유공사의 CCS 시범사업뿐만 아니라 SK 등 민간 기업이 진행하는 CCUS 사업에 드는 비용이 과하다며 비호감을 표시하고 있다. CCUS는 탄소포집활용저장 활동이며, CCS는 탄소포집저장 활동이다. 세부 사업 내용이 달라 용어가 구분된다. 

권 단장은 “모든 분야가 정부 지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좀 더 세밀한 전략과 포트폴리오가 필요하다”며 “정부 지원을 몇몇 프로젝트나 기업에 집중하기보다 민간의 투자를 이끌 CCUS 인프라와 CCS 시범사업에 대한 투자가 요긴하다”고 덧붙였다. 

권 단장은 과다한 투자비용에 부담을 갖는 정부 입장을 이해한다고 했다. 따라서 수험에 비유하자면 기본부터 모든 것을 갖춰나가기 보다 당장 실전에 적용 가능한 응용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CCUS 분야엔 포집, 수송, 저장, 모니터링 등 많은 기술이 있는데 이를 정부 주도 R&D로 개발하기엔 현재 재원, 시간 모두 부족하다”며 “CCS 시범사업이라는 가치사슬 전주기(Full Value-chain)에 정부지원을 집중해 결과를 내며 민간투자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단장은 CCUS 사업에서 경제성을 강조했다. 정부에 손실보전을 떠넘기는 일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비용절감을 통해 기업이 손실을 보지 않으면서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만들어 내는 일이 중요하다"며  “손실을 정부에게 지원해달라고 하는 것은 해법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최적의 실천방안(Best Practice)을 찾아야한다"며 "자원개발, 수소, 암모니아 등 여러가지 전환기술과 CCS의 접합을 통해  CCUS의 전체 사업모델이 보완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 권 단장은 기업간 새로운 추진체계가 마련돼야 CCUS가 발전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개별 기업이 CCUS 전체 가치사슬을 구성하기 어렵다”며 “기업 간 파트너십을 구성해 주변으로 확대하며 시스템화를 도모해 CCUS를 위한 기업간 추진체계를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은 에너지전환 기술 가운데 CCUS, CCS의 장점이 뭐냐는 질문에 권 단장은 “CCUS는 온실가스를 직접 줄이는 방법”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제 CCUS 전문가가 많아 졌다”며 “그만큼 한국이 CCUS를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본격적으로 활용하는 시기가 앞당겨 질 것”이라고 희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