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 생산 빈 자리에 이산화탄소 주입, CCS로 전환 계획
CCS 설계·운영에 10년간 2조 필요...수소경제·CBAM에 필수
[울산 동해가스전=데일리한국 안희민 기자] “쉭~ 쉭~.” 김해공항에서 헬리콥터로 40분을 날아 안착한 헬기 계류장에서 귀에 꽂힌 소리였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이 소리는 바람과 파도 소리와 함께 방문 내내 일행을 쫒아 다녔다.
서울 김포공항에서 1시간을 날아 김해공항에 도착한 후 헬기로 40분을 이동해 기자가 지난달 29일 다다른 곳은 바로 ‘동해가스전’으로 불리는 '동해-1 가스전' 해상플랫폼이다.
동해 한 가운데 설치된 이 곳은 한국석유공사가 1998년 7월 탐사 시추에 성공한 뒤 2004년 7월부터 천연가스와 초경질유를 17년 간 생산한 곳이다. 자원 빈국 한국에 ‘산유국’ 지위를 부여했던 역사의 현장이지만 2021년 12월 31일 가스생산이 중단된 뒤 퇴락했다. 컨트롤캐빈 문 앞 난간에 바다로 향해 붙은 ‘동해-1 가스생산 시설’이라는 간판은 이미 도색이 벗겨져 글씨를 간신히 알아볼 수 있었다.
‘동해-1 가스전’은 용도 폐기로 폐쇄될 운명의 시설이다. 한때 26명까지 거주했지만 지금은 한 달에 한두번 석유공사 소속의 유지보수(O&M) 인력만 오간다. 사용하는 전력도 최소한이다. 위치가 바다 항로에 있다보니 오가는 선박들이 충돌하지 않도록 불빛과 전자파를 내보내야하기 때문이다.
해상플랫폼의 상부구조물엔 가스를 연료로 운전되던 4.5MW급 가스터빈발전기 두대와 비상용 디젤발전기, 가스터빈 컴프레서, 태양광모듈, 크레인이 망망대해를 배경으로 우두커니 서 있다. 군데군데 회색과 황색칠이 벗겨지고 녹이 슬어 을씨년스러움을 더했다.
헬기 계류장에서부터 쉴새없이 들리는 소리는 갈매기를 쫓는 소리였다. 갈매기의 석회질 성분의 똥은 태양광모듈뿐만 아니라 기계설비를 부식시키기 때문에 태양광모듈로 생산한 전력을 이용해 갈매기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석유공사 허세광 차장은 “동해가스전은 아직 문을 닫지 않은 광산”이라며 “이에 따라 광산법에서 규정한 필수 인력으로 최소한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항행사고 방지를 위해 최소한의 전기로 해상플랫폼에 불을 밝히고 전파를 방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가스전운영사무소 생산운영팀에서 일하는 허 차장은 동해가스전에서 7년간 근무했다. 이 가운데 4년을 해상플랫폼에서 생활하며 보냈다. 한번 해상플랫폼에 오르면 2주간 머물렀다고 한다. 그는 과거 플랫폼 유지를 위해 구동되던 설비를 가리키며 “해상플랫폼이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주입기지로 전환되면 없어질 설비들”이라고 덧붙였다. 그의 말을 듣고 상부 구조물을 바라보니 더욱 퇴락돼 보였다.
상부구조물은 CCS 주입기지화와 함께 없어질 운명이어서 음산했지만 플랫폼을 지탱하는 자켓과 보트가 접안하는 보트 랜딩 주변의 하부구조물에선 이산화탄소가 해저면으로 주입되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었다.
석유공사에서 2010년 CCS를 연구하기 시작할 때부터 근무했던 CCS사업팀의 김종수 차장은 “RISER를 보겠습니까”하고 던진 질문을 신호 삼아 일행을 하부구조물로 이끌었다. 본래 노란색이었던 하부구조물은 바다의 염분으로 인해 녹이 슬어 주황색으로 색깔이 변해 있었다. 녹슨 주황색은 삼킬 듯이 출렁이는 시퍼런 바다와 자켓에 부딪쳐 공중으로 흩뿌려지는 흰 포말과 대비되며 검게 보였다.
김 차장은 “해저에서 분출된 가스를 모아 플랫폼에서 육지로 보내는 설비를 역이용해 이산화탄소를 해저에 저장한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에 따르면 동해가스전엔 총 5개의 가스정(Well)이 있다. 여기에 파이프 4개를 꼽아 해상플랫폼으로 가스를 유도했다. 이들 파이프의 이름은 P1, P2, P3, P4이다. 5개의 가스정 중 2개는 한데 묶어 한개의 파이프에 물려있다.
해상플랫폼에서 해저까지의 수심은 120m다. 해저면 가스정엔 ‘엑스마스 트리’라고 불리는 밸브와 탯줄 역할을 하는 라인이 설치돼있다. 탯줄 역할을 하는 라인에 화학물질을 넣어 분출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했다. 설명을 들으니 일행이 오가는 플랫폼은 전체 동해가스전의 일부일 뿐임을 새삼 깨달았다.
가스정에서 P1~P4를 통해 플랫폼으로 들여올려진 가스는 주황색으로 도색된 'export pipe line'으로 60km 떨어진 육상의 가스터미널까지 운송됐다.
해상플랫폼이 CCS 주입기지로 전환되면 이들 설비가 반대로 사용될 전망이다.
육지의 가스터미널은 이산화탄소 주입 터미널로 바뀌고 육지와 해상플랫폼을 잇는 60km의 긴 가스 파이프라인은 이산화탄소 운송 파이프라인으로 바뀐다. 주황색의 가스 'export pipe line'은 이산화탄소 'import pipe line' 역할을 하고 가스를 해상플랫폼으로 인도하던 P1~P4 라인은 이산화탄소를 플랫폼에서 해저면 이산화탄소 주입구까지 인도한다. 이때 이산화탄소 주입구는 가스가 용출하던 가스정(Well)이다. '엑스마스 트리'는 이때 것 유출을 막았던 가스 대신 이산화탄소를 억누른다.
김 차장은 “해상플랫폼 하부구조물의 설비는 향후 CCS 주입기지 설계도면에 따라 모습이 상당히 바뀌겠지만 기본 원리는 동일하다”고 설명했다. 김 차장은 “동해가스전이 CCS 저장기지로의 전환을 모색되던 시기가 2020년부터”라고 덧붙였다.
석유공사에 따르면 동해가스전 해상플랫폼을 CCS 주입기지로 전환해 10년간 운영하는데 2조 원의 비용이 든다. 여기엔 개념설계서부터 시공, CCS 운영까지의 비용이 포함돼 있다.
10년간 2조 원이라는 금액은 다소 과해 보이지만, 한국 수소경제를 지탱하는 필수 비용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이 비용을 들여 CCS 주입기지를 마련할 경우 해결할 수 있는 일은 많다.
우선 한국에서 제조수소의 비중을 높여 지난달 발생한 중부지방 수소공급 대란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번 중부지방 수소공급 대란은 공장의 공정과정에서 생산하는 부생수소에 국내 수소 공급의 절반 이상을 의존하다 부생수소 생산장치가 고장나 수소가 품귀현상을 빚은 사건이다.
산업부가 수소경제를 표방하며 수소차를 5년만에 3만2000여대 늘리고 수소발전지원제도를 도입해 분산형 연료전지 보급을 늘리고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 이 사고는 제조수소 비중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었다.
현재 제조수소의 대부분이 LNG 개질방식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때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공기 중에 배출하면 '그레이수소'가 되는데, 그레이수소는 기후변화대응과 온실가스 억제를 위해 펼치는 수소경제의 본령에 맞지 않다.
따라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CCS에 저장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블루수소'를 생산한다면 제조수소의 비중을 높이고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유용하다.
CCS에는 비단 그레이수소의 이산화탄소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다. 한국 온실가스 배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는 철강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도 포집해 CCS에 저장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EU가 2026년부터 철강에 이산화탄소 배출비용을 부과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도 대응할 수 있다.
산업부는 동해가스전을 CCS 주입기지로 전환해 연간 12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겠다는 계획이다.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가 2030년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CCUS)로 상쇄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1050만톤으로 설정한 점을 감안하면 10년간 2조 원의 금액이 결코 큰 비용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오히려 한국 철강의 EU 수출에 제한이 가해질 2026년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동해가스전의 CCS 주입기지로의 전환은 분초를 다투는 시급한 사업이다.
관련기사
- CCUS사업, ‘예산 먹는 하마’ 오해 벗나?...입법·정책지원·사업모델개발 활발
- [인터뷰] 권이균 CCUS추진단장 “민간투자 이끌 인프라 투자와 시범사업에 집중해야”
- [안희민의 에너지산책] 광물·에너지·수소의 해외 의존, 이대로 좋은가?
- [안희민의 에너지산책] 석유공사, 동해가스전 CCS 실증 추진...'광개토 프로젝트' 시동
- [인터뷰] 국내 첫 'CCS기지' 건설하는 한국석유공사 허세광·김종수 차장
- 한국석유공사 수소화합물 사업 가능…'석유공사법' 개정안 국회 통과
- 한전·가스공사·석유공사 산업생태계 보호한다...R&D 특례 적용
- 석유공사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예타 조사 대상으로
- 연초부터 급물살 탄 동해가스전 CCS 실증사업, 과제 '산적'
- 21대 국회에서 폐기되는 에너지법안들, 22대서 부활할까?
- 금융위, 기후변화 대응 정책금융 420조 예고…‘현실화 가능성’ 입도마
- 성장기 초입 접어든 한국 CCUS 산업계…정부의 다각적 지원 요청
- '동북아 에너지허브' 울산 북항 KET를 일군 4명은?
- 가스공사, 日미쓰비시와 5년만에 정례회의…저탄소 LNG ‘주목’
- [탐방] SMR 활용해 암모니아 크래킹 준비하는 어프로티움 울산공장
- 석유공사, 포항 영일만 원유·가스 매장 가능성 ‘신중 속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