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6일 총파업 예정…23일 서울부터 결의 대회 시작
영업점 폐쇄·임금피크제 등 쟁점…은행 호실적 도마 위
"일부 '프레임' 우려"..."규모 크진 않을 것, 동참은 미지수"

사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제공
사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제공

[데일리한국 정우교 기자]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이 다음달 총파업을 예고하면서 은행권 안팎에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노조는 파업의 배경으로 점포 폐쇄 법제화, 임금피크제 개선 등을 요구하고 나섰으나, 일각에선 '밥그릇 지키기'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어서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는 다음달 16일 총파업에 나설 예정이다. 지난 19일 전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가졌고 찬성률 93.40%로 가결을 얻었다. 이에 따라 금융노조는 23일 서울시청 광장을 시작으로 다음달까지 총파업 결의대회를 이어간다.

금융노조는 총파업의 주요 안건으로 △영업점 폐쇄 중단 △적정인력 유지 △공공기관의 자율교섭 보장 △정년 연장, 임금피크제 개선 △주 36시간 4.5일제 등을 지목했다. 그러나 은행권 안팎에서는 이를 두고 시각 차이를 전혀 좁히지 못하고 있다.

노조 측은 영업점 폐쇄 중단에 대해 무분별한 점포폐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절차를 법제화하거나 감독 규정을 만들자는 입장이다. 실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4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의 상반기 국내 지점은 총 2943개로, 전년(3257개)보다 9.6% 감소했다. 

노조 측은 무분별한 폐쇄를 자제하고 신입직을 채용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점포는 '디지털화'와 맞물려 운영 효율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도 팽팽히 맞서고 있다. 

게다가 점포 폐쇄는 은행권 내에서 끊임없이 제기됐던 문제 중 하나다. 금감원에 따르면 금융노조 파업이 있었던 지난 2016년 4대 은행의 국내 지점은 3840개로 6년간 1000여개가 사라진 것이다. 업계뿐만 아니라 정치권도 나섰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또한 은행의 호실적도 파업과 맞물려 도마 위에 올랐다. 주요 4대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6조3375억원으로 전년(5조3080억원)에 비해 19.4% 증가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대마진이 늘었고, 이자이익이 불어난게 호실적의 주요 배경이다. 실제 주요 4대 은행의 이자이익은 20~23% 늘어났다. 금리인상기 수혜를 톡톡히 본 셈이다. 

일부에서는 순익 증가와 함께 임금도 늘었음에도 파업에 나선 것을 두고 비판이 나오고 있다. 실제 상반기 4대 은행의 1인당 평균임금은 5900만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5400만원에 비해 500만원 인상됐다.  

노조 측은 이에 대해 "최고경영자, 임원 등 관리자의 임금이 포함돼 있다"며 "상반기만 8억원을 넘게 받은 은행장들과 일반 금융 노동자들의 연봉엔 차이가 있다"고 날을 세웠다.

아울러 사측(금융산업협의회)이 제시한 실질임금 인상률 1.4%에 대해, 노조는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6.3%)에 못 미친다고 주장했다. 노조 측은 6.1% 인상을 요구한 상황이다.

한 은행의 관계자는 "은행원이 고액 연봉을 받는 직군임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노동자가 아닌건 아니다"며 "똑같은 직장인이 하는 파업이지만 정치권 등 일부에서 시작된 '프레임' '선입견'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파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냉정하게 보면 파업은 잘되지 않을 것이다"라면서 "지난 2016년에도 큰 파업은 이어지지 않았고, 주위에서도 이 파업에 대한 이야기는 잘 나오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금 인상에 대한 목소리를 내는 정도에서 그치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도 비슷한 의견이었다. 그는 "사측에서 제시한 임금 인상률이 낮아 다소 실망스럽다"면서도 "파업가결에 찬성했다고 해서 실제 파업에 동참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