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석달만에 여당 지휘봉…친한계 지도부 포진
대권 가능성 연 韓, 리더십 시험대 '제3자 특검'
당정관계·갈등봉합·지선 대선 동력확보도 숙제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당대표가 2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당기를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신임 당대표가 2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당기를 흔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데일리한국 이지예 기자] 국민의힘 7·23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한동훈 신임 당대표는 4·10 총선 참패 이후 석 달 만에 돌아와 다시 집권여당의 지휘봉을 잡았다. 이로써 '비상체제'를 이어온 당 지도부는 224일 만에 정상 궤도에 올랐다.

이번 전당대회에서는 새 지도부에 '친한(친한동훈계)' 인사가 포진돼 한 대표의 당 운영에 안정적 토대가 마련됐다는 평도 나온다.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진종오 최고위원 가운데 2명은 한 대표의 확실한 '우군'으로 꼽힌다. 정책위의장과 지명직 최고위원 각각 1명은 한 대표가 직접 결정할 수 있다. 당연직으로 들어가는 추경호 원내대표를 제외하면, 본인 포함 최고위원 9명 중 최대 5명이 한 대표에 힘을 싣게 되는 셈이다.

'한동훈호(號)'의 살림을 책임질 정책위의장 자리엔 친윤(친윤석열계) '정점식 유임론'이 거론된다. 정책 연속성 면에서나 친윤계와 갈등 봉합 차원에서 유리하지 않겠느냔 논리다. 또 당 사무총장에는 배현진 의원의 인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분위기다. 이밖에 여의도연구원장, 사무부총장(전략기획부총장·조직부총장), 당대표 비서실장·정무실장, 대변인단 등의 인선에도 눈길이 쏠린다.

한 대표가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로 승리한 점은 원내 지지기반이 없던 취약점을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의 당선 득표율(62.8%)은 경쟁 상대였던 원희룡 후보(18.6%), 나경원 후보(14.6%), 윤상현 후보(3.7%)의 득표율 합산보다 앞선 수치다. 대권 도전 가능성을 열어둔 한 대표는 이러한 지지세를 발판 삼아 본격 원내 세 확장에 시동을 걸 것으로 전망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 입장하며 한동훈 당대표 후보와 인사하고 있다. 2024.7.23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 입장하며 한동훈 당대표 후보와 인사하고 있다. 2024.7.23 사진=연합뉴스.

◇尹-韓 관계, 복원이냐 악화일로냐

이번 전당대회에서 보여준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이 3년 후의 '어대한'(어차피 대통령은 한동훈) 기류로 이어질까도 관심사다.

이를 위한 한 대표의 리더십 첫 시험대는 용산과의 관계 설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정 관계 설정이 한동훈호(號)의 향후 2년과 윤석열 정부 남은 3년의 성패를 좌우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현재 한 대표는 윤 대통령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동시에 당정 관계를 '수평적'으로 재정립해야 하는 난제를 떠안게 됐다. 한 대표가 집권여당의 수장으로서 윤 대통령과 공생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윤 대통령과 각을 세워 반사이익을 얻은 측면이 있던 만큼 딜레마에 직면할 수 있단 얘기다. 

한 대표가 내건 '채상병 제3자 추천 특검법'은 앞으로의 당정관계를 가늠하는 온도계로 작동할 예정이다. 친한계를 제외한 정부·여당 대부분이 '특검은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가운데, 한 대표는 '국민 눈높이'를 명분으로 추진 입장을 재확인했다. 원내를 상대로 동의를 얻는 것은 물론, 독소조항을 없앤 여권발 특검으로 거대야당의 협조를 얻어야 한다.

한 대표가 대통령의 탄핵 리스크를 없앤 특검으로 '원내 돌파구'를 찾게 된다면 본인을 둘러싼 원외 대표 한계론까지 불식시킬 것으로 보인다.

◇진흙탕 전대로 촉발된 '계파갈등' 봉합도 시급 

한동훈호(號)의 시급한 과제는 당 화합이다. 역대급 진흙탕 전당대회로 만들어진 계파 갈등을 잠재우고 당원들의 피로감을 덜어내는 일이다. '한동훈 대 반한' 구도는 친한계와 친윤계 간 대리전을 촉발했다. '자폭 전대' '분당대회'라는 지적으로 이어질 만큼 사오분열된 당을 새롭게 정비할 리더십이 필요하다.

중진 의원들의 원성을 부른 한 대표의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폭로 이후 겸손과 포용의 리더십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만큼 한 대표가 친윤계를 끌어안을 대인배의 모습을 보여줄지 주목된다.

총선 참패 직후 난파 위기에 직면한 당의 수습과 재건도 향후 과제로 꼽힌다. 거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의 협치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선·지선 준비가 관건…韓 대권도전 주목 

2년 후 지방선거와 3년 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당과 대통령 지지율을 끌어올려야 하는 과제도 남아있다. 지난 총선에서 참패한 수도권 등 지역을 탈환할 수 있는 토대로 닦아내는 것이 관건이다.

한 대표가 대선에 나선다면 당헌·당규상 내년 9월에는 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 지방선거 공천권을 염두에 두고 대선까지 대표직을 유지하려 하거나, 조기 사퇴할 경우 논란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